모경종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만나 검단구 성공적 출범을 위한 정책제안

- 모경종 의원, 인천시 행정체제 개편 과정에서 경계재조정 필요성 지적
- 수도권매립지를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 주민이익공유제 모델 결합 제안


 

모경종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서구병)은 최근 유정복 인천시장과 만나 2026년 신설되는 검단구의 성공적 출범을 위한 정책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모경종 의원은 이날 “인천시 행정체제 개편 과정에서 경계재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인천광역시 제물포구ㆍ영종구 및 검단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안에 따르면, 아라뱃길을 기준으로 남부지역은 서구로, 북부지역은 검단구로 경계가 구분된다고 설명했다.

 

우선 “수도권매립지와 환경연구단지, 검단 제2일반산단이 지리적으로 나뉘어 R&D 기능 역시 분리될 우려가 있고, 최근 인천서구 명칭변경 논의과정에서 확인된 전문가 의견에 따르면, ‘정서진’은 광화문을 기준으로 ‘정서’에 위치함에 따른 명칭으로, 지리적으로 검단에 속한다는 지적도 있다”며 “무엇보다 현재 경계안대로 분리된다면, 아라뱃길 하단에 위치한 오류왕길동의 인천터미널물류센터가 수도권 규제를 받게 될 우려”가 제기된다.

 

이에 모경종 의원은 “정서진을 포함한 오류왕길동 전체를 검단구로 편입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분구 추진과정에서 경계가 재조정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 인천도시공사가 분할매각을 시도하고 있는 검단신도시 내 의료복합시설용지와 관련하여, 섣부른 부지매각을 지양해달라는 입장도 함께 전달”했다.

 

이어 “해당부지에는 대형종합병원, 공공의료기관 설치, 민간제안 사업 공모, 북부권문화예술회관 설치 등 주민들이 요구하는 복합적 공익시설유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전달했다.

 

끝으로 “수도권매립지를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하고 주민이익공유제 모델을 결합하여, 검단을 에너지 자립도시로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산업부 공모에 따라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된다”면, “분산에너지사업자와 전력소비자 사이에 한국전력을 거치지 않고 직거래가 가능하며, 이를 주민이익공유제와 결합하면 검단지역은 에너지 자립도시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고 덧붙혔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이 같은 제안에 함께 공감하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