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수구의 음식물쓰레기대형감량기 설치사업 담당공무원이 대형감량기 설치사업 예산의 상당 부분을 집행하지 않고 예산의 대부분을 반납해 지역 주민들로부터 비판의 목소리가 일고 있다.
20일 인천시출입연합기자단에 따르면, 연수구는 2023년 인천경제청으로부터 송도국제도시 내에 설치할 음식물폐기물대형감량기 설치사업에 필요한 예산 15억 9,600만원(대형감량기.35대)을 배정받았다.
그러나 지난해 연말까지 5억5,000만원(감량기.12대)의 예산만 집행하고 나머지 10억4,600만원(감량기.23대)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반납할 처지에 놓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감량기 설치사업은 송도국제도시내 설치된 자동집하시설(크린넷)이 잦은 고장을 일으켜 유지보수비용 증가로 인해 주민들에게 크린넷 시설이 오히려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대안이기도 하다. 또한 정부의 자원순환정책에 따라 인천경제청에서 전액 설치 예산을 부담하는 구조이다.
송도지구내 설치된 자동집하시설(크린넷)의 경우 30년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됐지만 현재 크린넷은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단일 관로로 함께 수거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염분이 많은 음식물쓰레기 특성상 관로를 부식시키고 잦은 기계 고장을 유발하고 있어 대안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수구가 어렵게 받은 예산을 반납한다는 사실에 해당 주민들이 비난하고 나선 것이다.
하지만, 송도지구와 인접한 청라국제도시는 비슷한 상황에 직면해 있으나 현재까지 음식물폐기물대형감량기 79대 설치를 마쳤고 올해 추경에도 40대분을 추가로 설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수구 관계자는 “지역주민들을 상대로 법적 절차에 따라 강량기 설치 신청을 받았는데 아직까지 이곳 송도지역은 주민들이 기존 크린넷 방식에 편리함을 유지하는 것에 익숙하다 보니 주민참여가 부족한 것 같다”라며 “예산은 정산 절차가 끝나는대로 반납할 예정이다”고 해명했다
반면, 송도신도시 주민들은 “2023년에 예산을 받아놓고 공무원들이 1년 6개월이 지나도록 전임자들이 민원을 핑계 삼아 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부랴부랴 발주를 서두르더니 결국에는 예산을 반납하는 형국에 놓인 것”이라며, 연수구의 해명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고 있다.
앞서, 박민협 연수구의원(송도2,4,5·국민의힘)도 지난해 11월말 진행된 연수구의회 자치도시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송도국제도시 자동집하시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을 강력히 요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