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들, 연안 김가공 업체들 김 제조 과정에 환경오염 경고

국민권익위에 마른김 제조공장 폐수배출 철저한 단속 요구

 

국내 환경단체들이 김생산 가공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해양오염을 경고하고 나섰다. 

 

환경단체 글로벌 에코넷과 행·의정 감시네트워크, 국민생명 안전네트워크, 기업윤리경영을 위한 시민단체협의회 등 환경시민단체들은 지난 17일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전국 350여 개 마른김 가공공장이 해수·지하수 폐수 무단 방류로 해양오염이 심각해 정부와 지자체가 직접 챙겨야 한다고 기자회견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시민단체들은 정부와 지자체는 이같은 김 생산 과정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엄격한 법 집행을 통해 연안 해양환경을 지켜내야 할 것이라고 국민권익위원회에 민원을 제기했다.

 

이들은 국내에서는 매년 김 수확 철인 11월부터 4월까지 바다가 어민들이 투기하는 김 찌꺼기 부패로 해안은 붉게 변하고 심한 악취를 풍겨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국내의 조미김 수출액은 5억8975만 달러, 마른김 수출액은 4억558만 달러(5천678억)를 기록해, 수출의 효자상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나 어민들이 김 생산 과정의 부산물인 김 찌꺼기를 폐수와 함께 정화하지 않고 바다로 그대로 흘려보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들 환경시민단체들은 지난 2월, 3월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마른김 공장이 이런 기준을 무시한 채 물김 찌꺼기를 바다에 투기하면서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선홍 글로벌 에코넷 상임회장은 김(Gim)은 본래 광합성을 통해 해양에서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생태계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가공 이후 찌꺼기는 유기물로 변해 바다로 유입되면 ▲부패·악취 발생 ▲산소 고갈 ▲적조 현상까지 유발한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이는 어패류의 폐사는 물론 마른김 원초의 성장에도 악영향을 미치며 ‘해양 생태계의 자가 파괴’라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고 강조하면서 해양수산부는 1조 원 수출 실적 홍보만 하지 말고 연안 환경오염 방지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들은 마른김 산업은 지역경제와 수산업 고용 창출에 있어 핵심적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350여개 마른김 공장에서는 매일같이  김찌꺼기와 오염수가 정화 없이 방류돼 국가 차원의 시급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국민권익위에 지자체별 ▲마른김 공장 등록 현황 ▲폐수처리시설 설치 가동 현황 ▲5년간 폐수처리 점검 현황 민원을 접수했다고 발표했다.

 

국민생명 안전네트워크는 완도군 50여 개, 고흥 50여 개, 해남 109여 개, 서천 72여 개, 진도, 고창, 부안, 목포, 신안군 등 전국 350여 개 마른김 공장이 가동 중이며 일부 업체는 환경 기준을 준수하지만, 대다수 업체가 무단 방류한다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더이상 해양환경의 파괴를 방관해서는 안 되며, 정부와 지자체는 실태조사 및 엄격한 법 집행을 통해 연안 환경을 지켜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해안과 서해안 일대에 약 350여 개소가 운영 중인 마른김 가공공장들은 바닷가에서 채취한 물김 원초를 마른김으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하루 평균 약 1,000톤의 바닷물과 700톤의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수의 업체가 정화 없이 그대로 해양으로 배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