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이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대체매립지 4차 공모결과에 대한 4자 협의체 발표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고, 후속 절차에 대한 시민의 알 권리 보장을 촉구하고 나섰다. 지난 10일 인천경실련 등 시민단체들에 따르면, 인천광역시(시장 유정복)와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김성환),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 경기도(도지사 김동연)는 18시 기준으로 ‘수도권 대체 매립지 4차 공모’(2025.05.13.∼10.10.)에 대한 마감 결과, 민간 2곳이 응모했다고 밝혔다. 이같은 결과는 공모조건 대폭 완화 합의 등 수도권매립지정책 4자 협의체가 보여준 노력의 결실이라는 평가와 함께 공모결과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다만, 경실련 등은 4자 협의체발표에 대하여 ▲(응모지역의) 공모조건 등 적합성을 확인해 ‘후보 지역(안)’을 도출하고 ▲관할 지자체의 입지 동의 설득을 위한 협의 조건을 4자 협의체에서 조율 후 해당 지자체와 협의해야 하는 등 후속 절차가 남아 있음을 강조했다. 또 이들은 4자 협의체는 최종 후보 지역을 도출하기까지 만전을 기하고, ‘후보 지역’ 보안을 전제로 후속 절차에 대한 시민의 알권리도 소홀히 해서는 안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경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상현의원 ( 인천동구 미추홀구을 )은 외통위 종합국정감사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의 확전 가능성 대비 레바논 동명부대 철수계획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지난 7일 하마스 기습 공격으로 촉발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하마스 전쟁이 주변국으로 확전될 가능성이 높고, 최근 이스라엘이 지상전 강행 의지를 보이고 있는가운데, 이란의 지원을 받는 레바논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 (Hezbollah)의 개입 가능성이 점점 커지는 것으로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레바논 지역에는 24일 기준 140명의 한국인 외에도 유엔 레바논 평화유지군(UNIFIL)으로 동명부대원들이 2007년부터 파견되어 있고, 300명 정도의 규모로 파악된다 . 윤상현 의원은 “ 동명부대는 이스라엘 국경지대로부터 후방( 직선거리 20km)에 있어 비교적 안전하다고 안일하게 인식해서는 안된다”며, “ 평상시 기준으로 위험에 대한 인식할 것이 아니라, 레바논 헤즈볼라가 나서는 상황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윤 의원은 “유엔 레바논 평화유지군으로 파견된 동명부대는 공격을 할 수 없고, 전시상황에서 속수무책” 이라면서, “동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