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뉴스통신 김윤미 기자 기자 | 이천시는 한국 창작동요 100주년 기념행사로 12월 19일 이천아트홀 대공연장에서 별처럼 빛나는 창작동요 100주년 기념 ‘동요 대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천시가 주최하고 이천시청소년재단 동요역사관이 주관한 이번 행사는 창작동요 100주년 기념으로 전국 각지 동요대회에서 우수한 상을 받은 인재들을 초청하여 따뜻하고 행복한 연말을 위한 동요 축제의 장을 마련할 계획이다. ‘동요 대축제’는 김현욱 아나운서 사회로 진행되며 ▲대한민국 1세대 뮤지컬 배우 윤복희 ▲국악인 남상일․최예림 ▲성악가 최병준 등 유명 인사들이 특별출연할 예정이다. 또한 ‘동요 대축제’ 공연은 ▲뮤지컬 <마틸다>, <애니> 주인공 최은영 ▲이천문화재단 동요 100주년 기념전시 홍보대사 채율희 ▲KBS 아기싱어즈 ▲대전 MBC 소년소녀합창단 ▲드림트리 ▲해피멜로디 ▲푸른소리아이들 ▲이천서희중창단 ▲초롱초롱동요학교 ▲이천시어린이합창단 ▲태권한류 총 15팀의 메인 공연으로 구성된다. 김현욱 아나운서는 2002년~2004년까지 ‘KBS 열려라동요세상’ 진행을 시작으로 각종 동요 콩쿠르, 음악회 등 어린이 행사 사회를 맡아오고 있으며, 특히
소위 '광클릭'을 부르는 '피터지는 티케팅(=피케팅)'의 아이돌 콘서트, 뮤지컬 공연부터 시민들에게 친숙한 지역 문화예술회관 이벤트까지... 다양한 무대와 공연을 만드는 사람들, 공연기획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 분야 쪽으로의 진출을 원하는 취업준비생들에게 공연기획자는 선망의 대상이지만 구체적인 진출 루트나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은 막연한(?) 분야이기도 하다. 이런 가운데 그 막연함과 궁금증을 풀어줄 지침서가 나와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공연기획자의 꿈을 키워가거나 공연계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 실무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는 예비 기획자를 위한 지침 도서 『공연기획자가 되는 법』(마인드빌딩)이 출간됐다. 저자 이재현은 24년 차 현직 공연기획자로 세종대학교에서 공연예술학을 전공했다. 2000년 ㈜예당기획 엔터테이먼트 사업 기획 입문을 시작으로 2004년부터는 서대문구 유일의 문화예술 공간인 서대문문화회관 극장과 2022년 새롭게 문을 연 북아현아트홀에서 공연기획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실제 공공극장에서 24년 차 예술행정, 조직관리, 예산운영, 홍보를 담당해온 공연기획 전문가로서 저자는 '관객을 상대로
'퍼햅스 러브(Perhaps Love)', '넬라 판타지아(Nella Fantasia)', '타임 투 세이 굿바이(Time To Say Goodbye)', '유 레이즈 미 업(You Raise Me Up)'... 세계인들을 감동시키며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이 곡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누구나 들으면 '아~' 하는 감탄사와 함께 감흥에 젖게 하는 이 곡들은 바로 알듯 모를 듯 모호한 장르인 '크로스오버(Crossover)'의 명곡들이다. 최근 출간된 이종성 음악평론가의 <크로스오버 명곡 가이드>(그래서음악)는 많은 이들이 애청해 온 크로스오버 명곡, 영화·뮤지컬·드라마 음악 등 다양한 스타일로 듣는 크로스오버 명곡, 우리 가요에 흐르는 크로스오버 명곡 그리고 “팬텀싱어”가 낳은 크로스오버 음악 스타들까지, 다양한 방면에 녹아있는 크로스오버 명곡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추천 음반도 수록했다 책 내용을 따라가면, 세계 3대 테너 플라시도 도밍고·루치아노 파바로티·호세 카레라스도 크로스오버 곡들을 노래했고, 국보급 소프라노 조수미도 크로스오버 앨범과 노래들로 대중의 사랑을 듬뿍 받았다는 사실을 새삼 발견하게 된다. 또, 안드레아 보첼리와 사라 브라이
위기의 대한민국을 치유할 사회적 대협력 방안이 대대적으로 논의된다. 1월 9일 화요일 오후 2시부터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제13회 대한민국 주민자치 실질화 대토론회가 개최된다. ‘품위 있는 주민, 품위 있는 마을, 품위 있는 한국’이라는 부주제로 열리는 이번 대토론회에서는 14개 단체가 연대해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대한민국 사회의 병리 현상을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의 시작으로, 한국의 사회자본 만들기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을 모색하고 협력 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위기의 대한민국, 치유가 필요하다 지금 대한민국은 벼랑 끝에 서 있다. 자유, 평등, 민주, 자치, 분권 등의 가치가 실종되어 위험사회·소멸사회·불안사회로 치닫고 있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등의 아픔을 겪으면서도 대한민국은 단기간의 압축성장을 통해 눈부신 산업화를 이루었고 민주화를 성취한 바 있다. 그러나 도시화와 아파트화로 대표되는 단절과 냉소, 주민들의 자발적 자치와 연대를 불가능하게 하는 기형적 행정구조의 폐해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병폐에 물든 지경이다. 산업화된 시장과 민주화된 국가에 의해 흉하게 외상 입고 심하게 내상 입은 우리 사회를 온전하게 치유해야 한다는 데 이번 대토론